A NASA Global Hawk unmanned aerial vehicle, or drone aircraft, is stored inside an airplane hangar during a Hurricane and Severe Storm Sentinel, or HS3, mission at NASA’s Wallops Flight Facility in Wallops Island, Virginia, on September 10, 2013. The HS3 mission uses two of the unmanned aircraft to fly over tropical storms and hurricanes to monitor weather conditions, utlilizing the Global Hawk’s ability to fly as high as 19.8 km (12.3 miles), as far as 20,278 km (12,600 miles) and stay in the air for as long as 28 hours. AFP PHOTO / Saul LOEB (Photo credit should read SAUL LOEB/AFP via Getty Images)

중국 정권은 미국 등 적국을 정찰하고 경쟁하기 위해 무인항공기 함대를 적극 키워왔다고 중국 국방부가 유출한 문서가 밝혔다.

2017년 7월, 문서는 신뢰할 수 있는 소식통에 의해 Epoch Times에 제공되었으며, 중국이 첨단 군사 드론을 개발하여 해상, 육상, 항공, 우주 및 군사 장비가 통신하는 전자기 스펙트럼에 대한 통제를 언급하면서 소위 “완전한 차원 전쟁”을 지배하려는 야심을 기술하였다. 정권은 이를 위해 소형장거리 군용 무인기 1~2종을 설계하고 공장을 설립해 연간 1000대의 무인기를 생산한다는 계획을 구체화했다. 문서에는 2018년 말까지 생산을 시작할 드론 제조 회사를 건설하기 위해 1억 3천만 위안(약 2천만 달러)의 투자가 있을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이 문서는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향후 수직전투에서 최신 전투력으로 국방력을 무장하고 미군 무기와 싸울 수 있게 되어 군사적으로 큰 의미를 부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파일에는 그러한 드론을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은 밝히지 않았지만, 당 장비 개발부의 2017년 지시는 위에서 언급한 드론의 설명과 일치하는 프로젝트를 기술했으며, 2020년까지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비행 시험 보고서를 발간하는 데 약 600만 위안(약 92만7859달러)의 예산을 들였다.

중국 국방부의 문서는 이러한 드론을 “한 나라가 현대 전투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인가”에 중요한 것으로 낙인찍었다.

“향후 전쟁에서 다른 나라의 정보를 통제하고 제한하면서 더 많은 정보 자원을 획득하는 것은 평화적 기간 동안 국가들과 경쟁하는 핵심 요소가 될 것이며, 전쟁 시 중요한 전투 전략이 될 것”이라고 말한 것은 “저비용”과 “위험한 환경에서 싸우는 능력”을 특징 중 하나로 꼽았다.모자는 이 드론을 바람직하게 만들었다.

이 프로젝트는 많은 중국 공대 및 항공 대학과의 협력을 요구했다. 이 학교 중 하나인 저장대에는 중국 공군과 다른 국가 기관으로부터 약 1억 위안(약 1억550만 달러)을 받은 드론 개발 연구소가 있다. 중국이 만든 상업용 드론이 세계 시장을 장악했다. 시장조사업체 드론산업인사이트에 따르면 중국 내 인권유린을 가능하게 하는 ‘첨단 감시장비’를 제공한 혐의로 미국의 제재를 받은 선전에 본사를 둔 드론 제조사 DJI는 2020년 10월 현재 세계 시장 점유율 70~80% 안팎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전투 지역에서 중국은 아직 갈 길이 멀었다. 유출된 문서에는 현재 중국 군용 무인기에서 발견된 피스톤과 터보샤프트 엔진 등은 장시간 비행과 고도에 부적합하다고 명시돼 있다. 중국은 오스트리아 BRP-파워트레인이 제작한 4행정 4기통 터보차지 엔진 로탁스914를 세계 최고의 엔진 시스템이라고 밝힌 데 대해 “일부 돌파구를 마련했다”고 지적했다. Epoch Times는 의견을 듣기 위해 BRP-Powertrain에 e-메일을 보냈다.

이 파일에는 현재 미 공군에 배치된 무인기 RQ-1A 프레데터, MQ-9A 리퍼, MQ-9A 리퍼, RQ-4 글로벌 호크 등 4개 기종이 언급돼 있다. 그것은 버지니아 방위 기술 회사인 노스럽 그루먼이 개발한 마지막 것을 미군에 사용된 가장 진보된 것으로 묘사했다. 그 모델은 최고 6만 피트의 높은 고도에서 30시간 이상 비행할 수 있는 능력으로 알려져 있다.

이 문서에 따르면, 이 새로운 무인기는 6kg의 운반 능력으로 24시간 이상 비행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한다. 중국 국영 항공우주기업 항공산업공사의 자회사가 만든 중국 군용 무인기 윙룽과 카이훙(일명 레인보우) 두 줄도 문건에 포함됐다. 군사 전문가들은 미국 샌디에이고 소재 회사인 제너럴 아토믹스가 제작한 프레데터와 리퍼 모델과 시각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일부 기종이 미국 무인기의 복제품이라고 의심해왔다.

최근 몇 달 동안 DJI는 저작권 침해 문제와 보안 취약성에 대한 미국의 정밀 조사에 직면했는데, 미 육군은 이를 중국 정권에 의해 차량을 통제하거나 데이터를 가로채기 위해 악용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법무부가 드론 관련 기술을 중국에 수출하려는 음모를 꾸민 혐의로 복수의 개인들을 기소했다. 2017년 8월 중국 국가인 쑨푸이는 드론 등 항공우주 기술에 응용한 중국 정부를 위해 고급 탄소섬유를 조달한 혐의로 징역 3년을 선고받았다.

(기사 원문)

https://www.theepochtimes.com/beijing-building-military-drones-to-rival-us-in-war-leaked-file-shows_3666407.html?fbclid=IwAR3iAg3LR-WbMfnBpsEUpN_4BVZICSkTp2HEm9r09kdnydYEXIO4DkUiSg8

답글 알림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