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2일









• 한달에 대략 3000만건에 달하는 인도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이용한 공공 원격의료 서비스 ‘e산지바니’.
• 삼성서울병원 역시 지난 7월에 클라우드 기반 의료연구 플랫폼을 구축하여 스캔 이미지로 환자의 욕창을 감지하는 AI 기반 솔루션 개발.
•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의 클라우드 혁신 센터는 AWS(아마존웹서비스) 클리우드에 구축된 수퍼컴퓨터를 활용하여 13만개 이상의 신규 RNA 바이러스를 2주 이내에 2만 4000달러의 비용으로 식별. (원래 이 정도 분량은 2000년 이상에 10배 이상의 비용이 들어감)
국내 벤처기업 아크릴이 우즈베키스탄 카라칼파크스탄 자치 공화국 보건부에 AI 기반의 디지털 감염병 예후 및 예측, 의사결정 시스템을 공급하기로 결정.
웨이메드 엔도는 위내시경에 AI 딥러닝 기술을 접목시켜 위내시경 검사와 실시간으로 영상을 분석하는 솔루션. AI가 딥러닝으로 대장, 위 내시경 영상과 동영상을 학습하여 실시간으로 소화기 내부 이상 부위를 감지하고 의료진애게 보고. 숙련된 의사 수준이라고.
위의 내용들이 현재 벌어지고 있는 AI 원격의료, AI 진단 및 분석, AI 병원 등이다. AI로 행해지는 모든 의료 기술에 공통적인 3가지 특징이 있다. 짧은 시간과 비용으로 사람이 감당할 수 없는 분량의 일을 쉬지않고 정확하게 처리한다는 것이다. 어느 종합병원이 이런 기술과 시스템을 도입하지 않겠는가.
문재인 정부에서 언급했던 공공의료서비스는 윤석열 디지털 플랫폼 정부의 AI 의료 시스템에 대한 준비였다.